🐉 고건축!/고건축 관련글

고건축용어: 지붕 마루

폿헷호 2024. 1. 11. 03:37

지붕마루 : 지붕의 면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을 높게 쌓아 만드는 것.

 

용마루 : 지붕 가장 높은 곳에 수평으로 생기는 지붕마루. 팔작지붕, 맞배지붕, 우진각지붕에서 볼 수 있다.

 

내림마루 : 박공을 따라 내려오는 지붕마루. 팔작지붕, 맞배지붕에서 볼 수 있다.

 

추녀마루 : 추녀 모서리를 향해 뻗은 지붕마루. 팔작지붕, 모임지붕, 우진각지붕에서 볼 수 있다.

 

착고 : 지붕마루를 형성하는 기와 중 가장 아래를 막는 기와. 지붕면의 요철에 따라 홈이 파여져 있는 특수기와를 사용한다.

 

적새 : 착고 위에 암키와를 거꾸로 쌓아올려 지붕마루의 높이를 형성하는 부분.

 

숫마루장 : 지붕 마루 가장 위에 수키와를 올려 마무리하는 것.

 

부고 : 용마루에서 착고 위에 수키와를 한 단 더 옆으로 얹어 높이를 올려주는 것. 부고를 형성하여 용마루는 다른 지붕마루보다 더 높게 만든다.

 

머거블 : 지붕마루의 끝을 회칠하고 수키와를 옆으로 붙여 간단히 마감하는 방식.

 

망와 : 지붕마루 끝 부분 위에 우뚝 세워 놓는 장식기와. 망와를 특수 제작하거나, 암막새를 거꾸로 세워놓기도 한다.

 

귀면와 : 지붕마루의 끝을 마감하는 귀신 얼굴이 새겨진 특수 장식 기와. 고대 건축에서 자주 사용되었다.

 

곱새기와(바래기기와) : 고대건축에서 자주 사용된 지붕마루 끝에서 숫마루장이 굽어 솟아오르는 형태의 장식기와. 귀면와 아래쪽에 추가로 설치되기도 한다.

 

양상도회(양성바름) : 지붕마루 전체를 회칠로 감싸 마무리하는 것. 조선시대 궁궐 및 관아 건축에 활발히 사용되었다.

 

곡와 : 용마루가 없는 특수한 건물에서 사용되는 지붕면을 둥글게 넘기는 기와. 수키와의 곡와를 곡개부와(부궁와), 암키와의 곡와를 곡개여와(여궁와)라고 부른다.

 

층단마루 : 지붕마루의 아랫부분에 짧은 지붕이 하나 더 있는 것 처럼 암막새와 수막새로 화려하게 장식한 용마루.

 

반마루 : 지붕과 벽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반쪽짜리 지붕마루. 중층지붕이나 합각벽에서 주로 형성된다.

 

728x90